《하면》과 《한다면》은 다같이 조건【条件】을 나타냅니다.
- 비가 오면 가지 않겠다. (雨が降ったら行かない)
- 비가 온다면 가지 않겠다. (雨が降るなら行かない)
여기서는 정확히 가려쓰려고 할 때 고민하게 될수 있는 《하면》과 《한다면》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.
《하면》과 《한다면》은 다같이 조건【条件】을 나타냅니다.
- 비가 오면 가지 않겠다. (雨が降ったら行かない)
- 비가 온다면 가지 않겠다. (雨が降るなら行かない)
《-(으)면》은 례사로운 조건을 가정할 때 쓰이지만 《-[ㄴ다면/는다면, 다면, [이]라면]》은 가정한 그 어떤 사실을 조건으로 삼음을 나타냅니다. 그렇기때문에 이것들사이에서는 미세한 의미-용법상차이가 나타납니다.
- 일반적인 진리를 말하는 문장에서는 《-(으)면》이 쓰입니다.
- 1에 1을 {더하면〇 / 더한다면×} 2가 된다. (一に一を足すと二になる)
- 비가 {오면〇 / 온다면×} 땅바닥이 젖는 법이다. (雨が降ったら地面が濡れるものだ)
- 예상을 동반하는 조건에는 《-(으)면》이 쓰입니다.
- (이제 곧 종이 울리므로) 종이 {울리면〇 / 울린다면×} 알려주십시오. (もうすぐ鐘が鳴るので)鐘が鳴ったら知らせてください。
예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는 《-[ㄴ다면/는다면, 다면, [이]라면]》도 가능합니다.
- (혹시 종이 울릴수 있으므로) 만약 종이 {울리면〇 / 울린다면〇} 알려주십시오. (鐘が鳴るかも知れないので)もし鐘が鳴ったら知らせてください。