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법

《하므로》? 《함으로》?

삭갈리기 쉬운 표현인 《하므로》, 《함으로》와 관련한 문제에 대하여 해설합니다.

《함으로》와 《하므로》

먼저 《함으로》《-(으)ㅁ + -(으)로》가 붙어쓰인것인데 다음의 실례에서와 같이 《화려하다》, 《절절하다》와 같은 형용사에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.

- 황홀함과 화려함으로 특징지어지는 축전개막행사

- 그 절절함으로 끓고있는 갈망

동사에 《-(으)ㅁ으로》만이 붙어쓰이는 실례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《-(으)ㅁ으로 { 하여 / 해서 }》의 모양으로 《원인》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사에도 붙어쓰입니다.

- 회의가 길어짐으로 해서 그다음 일정이 늦어지게 되였다. (会議が長引いたことにより,その後の日程が遅れた)

또 뒤에서 구체적으로 보는것처럼 수단이나 근거의 뜻으로 《함으로써》라는 모양도 쓰이는데 《하므로서×》나 《하므로써×》와 같이 표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
- 이번 일이 { 성공함으로써 / 성공하므로서× / 성공하므로써× } …

이와는 별개로 우리 말에는 이음토 《-(으)므로》가 존재합니다.

- 시간이 { 없으므로 / 없음으로× } 오늘은 이만하겠습니다.

《-(으)므로》와 《-(으)ㅁ으로써》는 다같이 좀 딱딱하고 글말적인 인상을 주는 표현입니다. 이 두가지는 비슷해보이지만 뜻과 쓰임이 차이납니다.

여기서는 《-(으)므로》와 《-(으)ㅁ으로써》의 차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
《하므로》와 《함으로써》(1): 의미기능상차이

《-(으)므로》는 앞말을 뒤말의 《원인, 리유》의 의미로 이어주는 이음토입니다. 따라서 《-(으)므로》가 붙은 단위는 《왜?》라는 물음에 대답합니다. 일본말로는 《~{する/な}ので,~{する/だ}から》 같은 말이 대응됩니다.

- 장마가 계속되겠으므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. (《계속되겠기때문에》의 뜻)

- 영희는 금주의 성격을 잘 알고있었으므로 더 말하지 않았다. (《알고있었기때문에》의 뜻)

한편 《-(으)ㅁ으로써》는 용언을 체언형으로 바꾸어주는 토 《-(으)ㅁ》뒤에 격토 《-(으)로써》가 붙은 모양으로서 그렇게 하는것이 뒤말의 《수단》이나 《근거》로 됨을 나타냅니다. 따라서 《-(으)ㅁ으로써》가 붙은 단위는 《어떻게 하여?》, 《어떻게 되여?》라는 물음에 대답합니다. 일본말로는 《~(する)ことで,~(する)のを持って》 같은 말이 대응됩니다.

- 농장원들은 지하수를 리용함으로써 가물을 이겨냈다. (《리용해서, 리용해가지고》의 뜻)

- 그들이 나타남으로써 대화는 중단되였다. (《나타난것으로 하여, 나타난것을 가지고》의 뜻)

《하므로》와 《함으로써》(2): 용법상차이

- 결합하는 용언

《-(으)므로》는 동사와 형용사, 체언의 용언형에 두루 쓰이지만 《-(으)ㅁ으로써》는 동사에만 쓰입니다.

- 먹으므로○ / 바쁘므로○ / 학생이므로○

- 먹음으로써○ / 바쁨으로써× / 학생임으로써×

- 시간관계

《-(으)므로》는 시간토 《-었/었/였-》, 《-겠-》과 결합하여 쓰이지만 《-(으)ㅁ으로써》는 이러한 시간토와 결합하지 않습니다.

- 먹었으므로○ / 먹었음으로써×

《-(으)므로》가 쓰인 경우에 앞말의 시간은 시간토에 의하여 표현되며 《-(으)ㅁ으로써》가 쓰인 경우에 앞단위의 행동은 뒤말의 술어가 나타내는 시간보다 앞선 시간을 나타냅니다.

- 앞뒤의 주체

《하므로》는 주로 앞뒤의 주체가 다른 문장에서 자연스럽고 《함으로써》는 앞뒤의 주체가 같은 문장에서 자연스럽습니다.

- 그들이 훈련을 열심히 하므로 감독이 만족해하였다. (彼女らが練習を頑張るので,監督は満足した)

- 그들은 훈련을 열심히 함으로써 경기에서 또다시 우승하였다. (彼らは練習を頑張ることで,再び試合で優勝した)